사내벤처 육성 사업 ‘3분의 1 토막’, 어두운 전망에 ‘걸음’마저 멈추나

관계자는 “노력하겠다”지만, 전망 어두운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모기업 저변 넓히는 사내벤처, 하지만 단기 실적 ‘옥석 가리기’에 희생된 사내벤처, 대기업 아래 묻히기 일쑤

160X600_GIAI_AIDSNote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신청 절차 및 지원 내용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의 수난기가 끊이지 않을 전망이다. 올해 지원 규모가 3분의 1로 줄어든 데 더해 내년까지 사업이 축소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예비창업자의 사업화 지원에 프로그램의 초점이 맞춰진 게 축소 원인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부턴 후속 기술 실증 지원이 사라지면서 분사 창업 활성화라는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의 당초 취지가 완전히 꺾여버릴 수 있단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지원 축소, 사내벤처 동력 잃나

2일 창업진흥원에 따르면 올해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사업 지원 규모는 50개팀 내외에 예산 50억원이다. 지난해 150개사 내외·약 150억원과 비교하면 예산과 지원 대상이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수준이다.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은 민간 역량을 활용해 유망 사내벤처팀을 발굴하고, 사업화 지원으로 성공률 높은 기술창업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취지로 지난 2018년 도입됐다. 정부는 사내벤처 선정팀에 사업화자금 최대 1억원과 창업·교육 멘토링 등을 지원하고, 운영기업은 정부 자금 지원에 맞춰 일정 비율로 대응자금과 성장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한국철도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 총 81개 운영기업을 통해 681개의 사내벤처팀이 육성됐으나, 올해엔 다소 시든 모양새다. 올해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규모가 크게 줄어든 건 프로그램의 지원 대상이 기존 ‘예비창업자·업력 3년 이내 분사창업 기업’에서 예비창업자로 한정된 탓이 크다.

사내벤처 선정 기업들은 “좋은 성과를 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올해부터 사업화 후속 지원프로그램이 사라지고 있다”며 아쉬운 마음을 드러냈다. 실제 현대자동차 사내벤처 스타트업인 마이셀과 포엔은 각각 2020년과 2022년에 기술 실증 지원을 받아 130억원 프리 A 투자유치, 아기유니콘 200 육성사업 선정 등의 성과를 거둬낸 바 있다. 그러나 사업이 크게 축소되면서 혁신 기술을 시장에서 시험해 볼 기회가 절실한 예비창업 기업 입장에선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지원 축소로 분사창업을 넘어 유니콘 기업으로 도약학 원동력을 잃어버린 셈이 됐다.

세수 감소 추이가 이어지면서 내년 지원 사업 전망도 그다지 밝지 못하다. 사업 지원 경쟁률이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운영기업 추천을 통해 사업 신청이 이뤄지는 만큼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은 수백 대 일에 달하는 초기기업 창업 지원 사업 경쟁률에 비해 낮을 수밖에 없다. 중기부 관계자는 “프로그램 특성을 강조해 지원 규모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지만, 관계자의 노력이 어디까지 미칠 수 있을지는 어디까지나 미지수다.

정착 성공한 사내벤처 적어, 왜?

사내벤처는 90년대 중반 이후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했지만 정작 성공적으로 정착·발전한 사례는 매우 드물었다. 사내벤처의 지속성이 떨어진 건 전략적, 재무적 측면에서 제약이 많았기 때문이다. 사내벤처의 표적 시장은 근본적으로 모기업의 표적 시장과 유사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로 인해 사내베처는 모기업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적극적인 시장 공략을 이뤄낼 수 없게 된다. 모기업의 지나친 개입으로 인한 실패 사례도 적지 않았다. 모기업의 사내벤처에 지나치게 개입할 경우 사내벤처는 자율성과 혁신성을 잃고 부진한 성과를 낼 수밖에 없다. 모기업의 미래 역량 구축에 기여해야 할 사내벤처가 모기업의 아성에 짓눌려 오히려 소멸하게 되는 결과가 펼쳐진 것이다.

자원 배분 상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사내벤처가 현저한 성과를 가져올 경우 추가적인 자원 투입이 필요하게 되는데, 조직 내 자원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존 사업 조직으로 분배돼야 할 자원을 사내벤처로 끌어다 쓰는 결과가 도출된다. 이 경우 사내벤처가 뛰어난 성과를 내놨다 하더라도 기존 사업 조직과의 갈등으로 인해 그 성과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사내벤처가 단점의 집합체인 건 아니다. 사내벤처는 사업 실패의 리스크가 낮고 모기업의 풍부한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모기업의 저변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율적 운영이 보장될 경우 기존 조직에 혁신적 아이디어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바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사내벤처를 통해 외부 시장과 내부 조직이 요하는 요구 사이의 객관적 검증을 이룰 수도 있다.

사진=pexels

사실상 ‘대기업 프로젝트’인 韓 사내벤처

다만 우리나라에 있어 사내벤처는 사실상 ‘대기업 프로젝트의 일환’에 가깝다. ‘대기업이 키운’ 스타트업에 매몰돼 있는 형국이란 의미다. 우리나라에서 사내벤처가 성장하기 어려운 이유다. 대기업은 중장기적 목표를 세팅한 뒤 움직이는 케이스가 거의 없다. 스타트업의 성장은 대기업에 있어 크게 중요한 관심사가 아니라는 의미다. 결국 사내벤처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가 단기적 실적에 따른 모기업 역량 강화에 치우치기 쉽다. 장기적 관점에서 자율성을 보장받음으로써 성장해야 할 벤처 스타트업 입장에선 성장을 할래야 할 수가 없는 판이 형성돼 있는 셈이다.

사내벤처 자체의 사업 모델이나 근본 경쟁력이 다소 뒤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실제 국내 사내벤처 중 ‘원천기술’에 집중하는 스타트업은 찾아보기 힘들다. 당장 돈이 되는 기술이나 기술이 아닌 서비스, 콘텐츠에 아이디어가 쏠린 탓이다. 장기간의 투자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종전의 문제도 묶여 있다. 몇 년 이상의 장기간 R&D를 통해 기술을 연마해야 할 사내벤처들이 단기 실적 저조에 따른 ‘옥석 가리기’에 희생되다 보니 자연스레 성장 동력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최근 규제 해제로 대기업의 개입이 더 용이해진 데다, 육성 프로그램 축소로 그나마 남아 있던 동력마저 사라진 만큼 사실상 사내벤처의 입지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