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5억원 규모 지역엔젤투자 모펀드 결성했지만, ‘인프라 부족’ 여전한 이상 이상적인 변화는 힘들 듯

기업 지방 이전 꺼리는 요인 1위는 ‘인프라 부족’ 지역 투자 생태계 조성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인프라 부족 문제 여전” 현실로 다가오는 지방소멸, 보다 확실한 여건 마련 필요할 듯

160X600_GIAI_AIDSNote
2023061910222626966_1.jpg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사진=중기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역엔젤투자 재간접펀드(모펀드)를 225억원 규모로 결성했다고 밝혔다. 지역엔젤투자 모펀드는 비수도권 지역기업 투자 목적으로 결성된 개인투자조합에 출자한다. 최소 10억원 이상 규모 자펀드에 자금을 출자하며 약정총액의 최대 80%까지 출자할 수 있다.

중기부 “225억원 규모 지역엔젤투자 모펀드 결성”

중기부는 19일 이 같은 사실을 알리며 “출자를 받은 개인투자조합은 비수도권 지역기업에 60%이상 의무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지역엔젤투자 모펀드는 지역 유망기업을 발굴·육성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지역기업이란 본점·주사무소가 비수도권 지역에 소재하는 창업·벤처기업 또는 기업가형 소상공인 등을 뜻한다.

개인투자조합을 결성해 지역엔젤투자 모펀드의 출자를 받을 수 있는 투자자는 전문개인투자자 또는 창업기획자, 신기술창업전문회사, 창조경제혁신센터, 산학연협력기술지주회사 중 하나에 해당돼야 한다. 이은청 중소벤처기업부 벤처정책관은 “지역엔젤투자 재간접펀드가 비수도권 지역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나아가 지역 창업·벤처 생태계를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2년 11월 4일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왼쪽에서 세 번째)이 서울 강남 팁스타운에서 투자동향과 민간 모펀드 조성 등을 주제로 라운드 좌담회를 진행하고 있다/사진=중소벤처기업부

생태계 조성 위한 끝없는 노력들

모펀드 조성 등을 통한 지역 투자 생태계 조성 시도는 이전부터 꾸준히 이어져 왔다. 지난 2022년 중기부는 지역엔젤투자허브 구축을 통해 엔젤 창업 및 엔젤투자를 육성 및 활성화시키겠다는 복안을 내놓은 바 있다. 당시 중기부는 창업 인프라가 우수한 2개 광역원을 우선 선정해 지역엔젤투자허브를 구축했다. 초기·엔젤투자의 수도권 편중을 해소하고 단순 자금이 아닌 전반적인 지방투자 촉진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하겠단 취지였다. 지역 엔젤투자허브는 민간(지역 투자자, 전문가 등)과 공공(지자체,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이 가진 인프라, 역량 등을 활용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창업-투자 활성화 방안을 수립·추진하는 전문기관이다.

지난 4월에는 지역 엔젤투자허브를 구축하고자 하는 광역 지방자치단체를 모집하기도했다. 중기부는 평가도 지역 내 창업·투자 인프라 현황과 지역 엔젤투자허브 활용 계획의 타당성, 입주공간의 지리적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엔젤투자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별도로 선정했다. 이를 통해 보다 성장성 높은 투자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지역 허브 구축은 수치로서 그 효과가 어느 정도 증명됐다. 중기부에 따르면 허브 구축 광역권의 엔젤투자액은 근 3년 새 150.7%나 증가했다. 수도권의 경우 같은 기간 81.9%의 증가세를 보여 허브 구축 광역권에서 투자가 크게 확대됐다. 특히 다른 지역에 비해 투자 기반이 두텁지 않은 광주 등에 허브가 설치되면서 투자 및 창업 구심점이 마련돼 그 효과가 더욱 증대됐다는 의견이 쏟아졌다.

직면한 문제 여전히 많아, 선택과 집중 필요

다만 당면한 문제가 없는 건 아니다. 지역 인프라 부족 문제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 실제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기업 1,000곳 가운데 152곳을 대상으로 ‘기업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사업장 신증설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89.4%가 이전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기업들이 지방 이전을 꺼리는 요인은 시간과 비용 증가 등 교통과 물류 인프라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실적 문제는 이전 희망 지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지방으로 기업 시설을 이전한다면 어디로 가겠나’란 질문에 대전·세종·충청(55.3%)이 1위, 부산·울산·경남(16.4%)과 대구·경북(11.2%)이 뒤를 이었다. 이 지역들을 선택한 이유로는 ‘교통·물류 인프라가 타 지역보다 좋기 때문’이라는 응답(60.5%)이 가장 많았다. 수도권을 떠나 지방으로 가더라도 기업 활동에 용이한 지역을 선택하게 된다는 의미다.

지역엔젤투자허브를 구축하긴 했으나 여전히 수도권 집중 현상이 뚜렷한 게 현실이다. 중기부에 따르면 전체 투자액 중 81.6%가 수도권 기업에 집중돼 있었으며, 액셀러레이터 현황 또한 66.1%가 수도권에 등록돼 있었다. 이 때문에 정해진 혜택만 노리고 지방 도시로 ‘껍데기 이전’을 단행하는 기업 우려도 적지 않다.

지방소멸은 위기가 아닌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역대 정부는 모두 지역균형발전 전략을 강조했으나 수도권으로 향하는 지방 사람들의 발길을 돌릴 만한 정책을 내놓은 정부는 없었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총 2,605만3,000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 5,163만 명 중 약 50%에 달하는 인구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수도권 쏠림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일자리다. 즉 지방소멸을 막는 데 가장 중요한 ‘키’는 지방기업이란 것이다. 지방 일자리를 확보하려면 소프트웨어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공간적으로 한곳에 일자리를 모아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 지방 거점도시에 일자리를 집중하는 여건을 만들고 인프라 확충을 통해 접근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산발적인 투자보단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