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드박스네트워크, 대규모 사업·인력 구조조정 발표

성장에서 수익성 중심으로 구조조정 결정, 인원 감축·사업 매각 등 단행 유동성 기반으로 가파르게 몸집 불린 스타트업들, 투자 위축으로 줄줄이 ‘위기’ 단순 투자 유치로는 문제 해결 어렵다는 사실 인지 ‘근본적 해결’ 나섰다

160X600_GIAI_AIDSNote
사진=샌드박스네트워크

대규모 투자금을 바탕으로 몸집을 키우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위축으로 인해 생존의 위기를 겪고 있다. 2015년 설립된 국내 대표적인 MCN(다중채널 네트워크) 기업 샌드박스네트워크 역시 흔들리고 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27일 공식 입장문을 발표하고, 시장 상황 변화에 따른 선제적 조치로 기존 ‘성장 중심’에서 ‘수익성 중심’으로 전략 전환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사업·인력 구조조정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지난해 매출 1,137억원, 영업 적자 121억원을 기록했다. 회사는 올해 매출액 예상치로 1,500억원을 제시했으나, 적자 폭은 한층 커질 것이란 전망이 대부분이다. 체질 개선을 위해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콘텐츠 글로벌 유통 및 국내 미디어 판매 사업, 출판 사업 등은 외부 제휴나 파트너십을 통해 전개할 예정이다. 신사업 중 e스포츠 대회 운영 대행 부분은 종료하고, 자체 브랜드 커머스 부문은 매각한다. 이에 더해 지난 23일 일부 직원들에게 개별적으로 퇴사 대상자로 선정된 사실을 통보하고, 이들이 동의하면 2개월의 유급 휴가를 거쳐 퇴사하도록 하는 권고사직 프로그램을 도입하겠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앞으로 △제작 기반 콘텐츠 IP(지식재산권) 생산 △웹 2.0 기반 크리에이터 IP 비슽즈니스 △웹 3.0 게임과 크립토 사업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샌드박스네트워크 관계자는 “이번 조직 효율화 이후 체질 개선뿐 아니라 핵심 사업인 플랫폼 사업과 광고 사업의 매출 증대를 통해 내년 2분기 흑자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어려운 결정에 따뜻한 관심을 부탁한다”고 했다.

성장 가팔랐던 만큼 추락의 반동도 거세

스타트업 민관협력 네트워크인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에 따르면, 지난 7월 국내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금액은 8,368억원 수준이었다. 이는 전년 동기(3조659억원) 대비 82.7% 감소한 수준이다. 성장의 원동력이었던 투자가 위축되자 샌드박스네트워크를 비롯한 유명 스타트업들이 하나둘 흔들리기 시작했다.

단기간에 몸집을 부풀린 스타트업들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고, 비즈니스의 규모를 빠르게 키우는 전략을 채택했다. 하지만 시장이 침체에 빠지자 경기 변동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일제히 소비를 줄였고, 스타트업은 흔들리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영업이익이 적자라고 해도 매출과 MAU(월간 활성 사용자 수) 증가를 근거로 투자를 유치할 수 있었다. 하지만 투자가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기업들에 수익성을 입증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적자를 감수하고 빠른 성장을 추구하는 일명 ‘J커브 전략’이 통하지 않는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대규모 투자를 기반으로 몸집을 부풀려온 스타트업은 투자가 끊기면 적자를 감내하지 못하고 무너질 위험이 크다. 고점이 높을수록 하강이 가파른 롤러코스터처럼, 빠르게 몸집을 불린 기업일수록 거센 추락을 겪고 있는 셈이다.

성장 중 필연적으로 겪는 진통, 투자가 답이 아니다

통상적으로 스타트업은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고, 인재를 채용하고 투자 유치를 진행하고, 확보한 인재와 자본으로 비즈니스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해 비즈니스를 성장시키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기업이 모멘텀(특정 자산에 대하여 상승하는 가격이 더욱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자산 가격이 더욱 하락하는 경향)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이와 같은 반복이 무의미해진다.

어느 기업이든 지금까지의 성공 요인이 먹히지 않는 상황을 겪게 된다. 이를 통상적으로 ‘골짜기(Canyon)’라고 칭한다. 이때 스타트업이 이어오던 성장세를 놓치고 방황하게 될 경우, 기업의 성장은 위기에 놓이게 된다. 인재 고용이 어려워지며, 유능한 인재들은 회사 내 성장 기회가 적다고 판단해 이직을 시작한다. 새로운 도전을 위한 추가 투자 유치도 어려워진다.

‘골짜기’에 빠진 기업은 지금까지 고수해오던 방법이 아닌 새로운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하지만 소위 ‘유동성 잔치’라고 부르던 팬데믹 이후 약 2년 남짓한 기간에 몸집을 불려 온 기업은 이 ‘골짜기’를 넘어서기가 어렵다. 유동성이 풍부해지자 벤처 투자가 증가했고, 충분히 펀딩받은 기업들이 늘었다. 이들은 각자 가파른 성장을 위해 멈추지 않고 달렸고, 시장 내 경쟁은 치열해졌다. 기업들은 적자가 발생하더라도 오로지 성장을 위해 움직였다. 그 결과, 투자금이 더 이상 들어오지 않으면 곧장 휘청이는 ‘모래성’ 같은 구조를 갖추게 됐다. 요즘과 같이 투자가 위축된 상황에서 ‘골짜기’에 빠져버린 스타트업들은 이미 과열된 경쟁 환경 속에서, 여태껏 기업을 지탱해 주던 투자금 없이 자력으로 생존해야 하는 상황에 부닥친 것이다.

샌드박스네트워크가 더 늦기 전에 조직에 칼을 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골짜기’에 빠져 모멘텀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는 현 상황을 단순 투자 유치로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한 것이다. 이들은 여태껏 추구해왔던 빠른 성장을 포기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전략을 채택했으며, 기업 내 쌓여 있던 문제를 최우선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택했다. 차후 샌드박스네트워크가 적자의 골짜기에서 벗어나 ‘성공한 스타트업’으로 남을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